[Github] Github에 업로드하는 방법


작성한 코드를 Github에 업로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을 것 입니다. 

저도 IDE(통합 개발 환경)에서 Github와 연동해서 업로드하는 방식도 사용해 본 적은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가장 기초적인 방법인 cmd(커맨드)를 이용해 업로드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Github를 이용하겠다고 하시는 분들이라면 모두 Git을 설치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Git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아래 더보기를 참고하셔서 설치하세요!



그러면 지금부터 Git에 프로젝트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차근히 알려드릴게요!


1. cmd(커맨드)창을 실행시킨 후 git에 업로드하고 싶은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한다.


IT를 하시는 분들에게 이 부분은 굳이 설명을 드리지 않아도 되겠죠?




저는 user 폴더 내에 test1 이라는 폴더를 생성했습니다.

그리고 이 폴더에 프로젝트 코드를 담아 git에 업로드하기로 했습니다.


2. 로컬저장소(Local Repository)를 만든다.


Git에 업로드하기 위해선 먼저 로컬저장소를 만들어야 합니다.

로컬저장소를 간단히 설명하면 프로젝트 폴더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 git init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해 git Repository를 생성합니다.

명령어가 완전히 실행되면 test1 폴더에 .git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test1 폴더는 git Repository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 git status

git Repository를 만든 상태에서 git status 명령어를 실행시켰습니다.

그러면 git이 추적하지 않고 있는 파일인 README.md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아무것도 추가되지 않았으며 추적하는 파일이 없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 추적을 위해서는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하라고 알려주네요!


3. git add 명령어로 원하는 폴더나 파일을 git에 추가시킨다.


현재 git Repository는 생성되었지만 추적하고 있는 파일은 전혀 없는 상태입니다.

git이 파일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git add 명령어로 폴더나 파일 추가를 진행합니다.



> git add

git add 명령어로 README.md를 git Repository에 추가합니다.

정상적으로 명령이 실행되었다면 git은 README.md 파일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git status

git status 명령어를 다시 실행시켜 명령이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알아봤습니다.

 README.md라는 새로운 파일이 추적되고 있음을 알려주네요.

이제는 변경된 내용을 완벽히 적용시켜 Repository에 저장하려면 commit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4. git config 명령어로 본인의 git 계정을 연동한다.



>git commit


first commit이라는 메세지를 사용하며 commit을 실행시켰습니다.

하지만 commit이 실패해 버렸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일까 잠깐 에러 메세지를 확인해 보니 사용자 계정을 등록해놓지 않는 상황이었기에, 

어떤 계정에 해당 명령을 실행할지 계정을 요구하고 있었습니다.

친절하게도 계정 연동이 안 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계정 연동하는 명령어도 알려주네요!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example.com"

>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두 명령어를 모두 실행시켜야 합니다.

you@example.com에는 당연히 본인이 git 계정 생성시 사용했던 메일을 입력합니다.

또한 Your Name에는 본인이 git 계성 생성시 설정했더 계정이름을 입력합니다.



5. git commit 명령어로 변경된 내용을 Repository에 적용시킨다.




> git commit


이제 다시 좀 전에 실패했떤 git commit 명령어를 실행시켜 줍니다.

이제 RAEDME.md는 git Repository에 완벽히 적용 되었습니다.

git status 명령어를 다시 실행시켜 보았습니다.

더 이상 commit 할 게 없다는 메세지를 전해줍니다.

commit 뒤의 "-m"은 메세지를 남기겠다는 명령어 입니다.

저는 습관상 commit 순서를 알기 위해서 "first commit", "second commit"과 같이 메세지를 남겨둡니다.


6. 원격 저장소와 연결한 후 원격저장소에 commit 내용 업로드!



이제 마지막 단계입니다.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 주소)


> git remote 명령어를 통해 로컬저장소의 변동사항을 원격저장소와 연동시킵니다.

origin은 원격저장소의 별칭을 의미합니다.

원격저장소 주소가 길기 때문에 별칭으로 사용하면 훨씬 더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git push -u origin mater


> git push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지금까지 했더 모든 변동사항이 원격저장소인 github에 업로드가 됩니다.

여기서 master는 브랜치명인데요.

기본 설정된 브랜치명이 master이기 때문에 처음 push를 도전하시는 분들은 해당 코드를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push까지 완벽하게 마치신 분들은 github에서 확인을 해주시면 끝납니다!



*참고로 자격을 얻은 후 실행 코드는 add 명령어와 commit 명령어, push 명령어 3개만 반복해주면 됩니다.


git add .

git commit -m "second commit"

git push -u origin maste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