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전 세계 화학기업 최초로 그린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LG화학은 그린본드로 확보한 자금을 전기차 배터리 수주 물량 공급을 우한 투자 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LG화학은 9일 총 15.6억불(약 1조 7,800억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기업이 발행한 그린본드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글로벌 그린본드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주요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돼 유통되는 국제채권으로, 발행대금의 용도가 신재생 에너지, 전기차 등의 친환경 투자로 한정된 채권이다.

 

LG화학의 글로벌 그린본드는 달러(USD)와 유로(EURO)로 발행되며, 5.5년 만기 5억달러와 10년 만기 5억달러, 4년 만기 5억유로 등 총 3개의 채권으로 구성됐다. 금리는 고정금리로 달러 5.5년 만기 채권은 미국 5년물 국채금리(Treasury Rate) 2.329%에 0.95%p를 더한 3.279%, 10년 만기 채권은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2.520%에 1.175%p를 더한 3.695%의 금리로 각각 발행됐다.

 

유로 4년 만기 채권은 유럽 4년물 미드스왑금리(Mid-swap Rate) -0.051%에 0.65%p를 더한 0.599%의 금리로 발행됐다. 이는 최초 제시 금리 대비 최소 0.275%p(27.5bps)에서 최대 0.35%p (35bps)가 낮아진 수준이다. (0.01%p=1bp, basis point)

 

LG화학은 미국, 유럽 금융시장에서 발행된 한국채권 중 역대 최대 주문 물량인 총 105억불(달러 59억, 유로 41억) 규모의 매수 주문이 몰리면서 당초 예상보다 개선된 조건으로 발행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확보한 자금을 전기차 배터리 수주 물량 공급을 위한 투자 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LG화학 COO(최고운영책임자) 정호영 사장은 “이번 글로벌 그린본드의 성공적인 발행은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친환경 미래 사업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더욱 고도화해 기업가치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파이썬을 설치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는 파이썬 홈페이지에서 "파이썬" 자체만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https://www.python.org/downloads/windows/

 

Python Releases for Windows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참고로 파이썬은 2버전과 3버전이 호환되지 않기 확실히 구별해야 했다. 지금은 2버전 설치받으시는 분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2.7버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있다. 앞으로도 할 것이라고 생각되진 않는다.

 

두 번째로는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주피터노트북(Jupyter Notebook, 주파이터 노트북이라고 하는 분도 있다.)이 함께 설치되는 아나콘다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https://anaconda.org/

 

:: Anaconda Cloud

New to Anaconda Cloud? Sign up! Already a member? Sign in! I forgot my password I forgot my username

anaconda.org

파이썬(Python)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아나콘다로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린다. 굳이 라이브러리를 새로 설치해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덜 수 있다. 또한 주피터노트북이 설치되기 때문에 따로 IDE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1.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2. 오른쪽 상단의 Downlad를 클릭한다.

 

3. 화면 왼쪽 Download를 클릭한다.

  (Anaconda distribution 아래에 위치한 Download)

 

4. 각자 운영체제에 맞춰서 파이썬(Python) 설치 - 기본적으로 Python 3.7 설치

 

5. 설치 프로그램 시작 - Next

 

 

6. 약관은 읽으실 수 있는 분들은 읽으시고 I Agree

 

7. 기본적인 것들은 다 설정해주기 때문에 recommended를 설치!

 

8. 원하는 위치로 설치 경로를 설정 - 귀찮다면 그대로 진행

 

가장 중요★

9. 모든 체크 박스에 체크해야 한다.

- 원래 파이썬을 설치하면 Path 값에 ;C\User\blank\Anaconad3 를 넣는 환경변수 설정을 해야 한다. 하지만 첫 번째 체크박스를 체크하는 것으로 Path값은 자동적으로 설정되게 된다.

10. Install 누르면 설치 끝!

 

 

다음 편으로는 파이썬(Python) 개발환경으로 조금 무겁긴 하지만 잘 사용되는 PyCharm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Github에 업로드하는 방법  (0) 2019.01.14

[Github] Github에 업로드하는 방법


작성한 코드를 Github에 업로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을 것 입니다. 

저도 IDE(통합 개발 환경)에서 Github와 연동해서 업로드하는 방식도 사용해 본 적은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가장 기초적인 방법인 cmd(커맨드)를 이용해 업로드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Github를 이용하겠다고 하시는 분들이라면 모두 Git을 설치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Git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아래 더보기를 참고하셔서 설치하세요!



그러면 지금부터 Git에 프로젝트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차근히 알려드릴게요!


1. cmd(커맨드)창을 실행시킨 후 git에 업로드하고 싶은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한다.


IT를 하시는 분들에게 이 부분은 굳이 설명을 드리지 않아도 되겠죠?




저는 user 폴더 내에 test1 이라는 폴더를 생성했습니다.

그리고 이 폴더에 프로젝트 코드를 담아 git에 업로드하기로 했습니다.


2. 로컬저장소(Local Repository)를 만든다.


Git에 업로드하기 위해선 먼저 로컬저장소를 만들어야 합니다.

로컬저장소를 간단히 설명하면 프로젝트 폴더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 git init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해 git Repository를 생성합니다.

명령어가 완전히 실행되면 test1 폴더에 .git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test1 폴더는 git Repository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 git status

git Repository를 만든 상태에서 git status 명령어를 실행시켰습니다.

그러면 git이 추적하지 않고 있는 파일인 README.md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아무것도 추가되지 않았으며 추적하는 파일이 없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 추적을 위해서는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하라고 알려주네요!


3. git add 명령어로 원하는 폴더나 파일을 git에 추가시킨다.


현재 git Repository는 생성되었지만 추적하고 있는 파일은 전혀 없는 상태입니다.

git이 파일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git add 명령어로 폴더나 파일 추가를 진행합니다.



> git add

git add 명령어로 README.md를 git Repository에 추가합니다.

정상적으로 명령이 실행되었다면 git은 README.md 파일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git status

git status 명령어를 다시 실행시켜 명령이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알아봤습니다.

 README.md라는 새로운 파일이 추적되고 있음을 알려주네요.

이제는 변경된 내용을 완벽히 적용시켜 Repository에 저장하려면 commit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4. git config 명령어로 본인의 git 계정을 연동한다.



>git commit


first commit이라는 메세지를 사용하며 commit을 실행시켰습니다.

하지만 commit이 실패해 버렸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일까 잠깐 에러 메세지를 확인해 보니 사용자 계정을 등록해놓지 않는 상황이었기에, 

어떤 계정에 해당 명령을 실행할지 계정을 요구하고 있었습니다.

친절하게도 계정 연동이 안 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계정 연동하는 명령어도 알려주네요!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example.com"

>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두 명령어를 모두 실행시켜야 합니다.

you@example.com에는 당연히 본인이 git 계정 생성시 사용했던 메일을 입력합니다.

또한 Your Name에는 본인이 git 계성 생성시 설정했더 계정이름을 입력합니다.



5. git commit 명령어로 변경된 내용을 Repository에 적용시킨다.




> git commit


이제 다시 좀 전에 실패했떤 git commit 명령어를 실행시켜 줍니다.

이제 RAEDME.md는 git Repository에 완벽히 적용 되었습니다.

git status 명령어를 다시 실행시켜 보았습니다.

더 이상 commit 할 게 없다는 메세지를 전해줍니다.

commit 뒤의 "-m"은 메세지를 남기겠다는 명령어 입니다.

저는 습관상 commit 순서를 알기 위해서 "first commit", "second commit"과 같이 메세지를 남겨둡니다.


6. 원격 저장소와 연결한 후 원격저장소에 commit 내용 업로드!



이제 마지막 단계입니다.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 주소)


> git remote 명령어를 통해 로컬저장소의 변동사항을 원격저장소와 연동시킵니다.

origin은 원격저장소의 별칭을 의미합니다.

원격저장소 주소가 길기 때문에 별칭으로 사용하면 훨씬 더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git push -u origin mater


> git push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지금까지 했더 모든 변동사항이 원격저장소인 github에 업로드가 됩니다.

여기서 master는 브랜치명인데요.

기본 설정된 브랜치명이 master이기 때문에 처음 push를 도전하시는 분들은 해당 코드를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push까지 완벽하게 마치신 분들은 github에서 확인을 해주시면 끝납니다!



*참고로 자격을 얻은 후 실행 코드는 add 명령어와 commit 명령어, push 명령어 3개만 반복해주면 됩니다.


git add .

git commit -m "second commit"

git push -u origin master



+ Recent posts